자율 주행
<출처> 2017년 국가공간정보 표준화 연구 1권 : 자율주행 디지털 맵 분야 표준화 로드맵 수립 전문
- 제목 : 2017년 국가공간정보 표준화 연구 1권; 자율주행 디지털 맵 분야 표준화 로드맵 수립
- 저자 :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발행처 : 국토교통부
- 출판년도 : 2017-12
1연구 배경 및 목적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은 제4차 산업혁명을 촉진하는 핵심분야로서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컴퓨터 공학과 정보통신, 센서, 위성항법 등의 첨단기술이 융합된 차세대 자동차 시장의 신사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자율주행자동차를 ‘9개 국가전략 프로젝트’로 선정하여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을 활성 시키기 위해서는 최신 공간정보 분야의 핵심기술인 자율주행 디지털 맵의 기술동향에 따른 표준화 방향 설정이 요구된다. 자율주행의 디지털 맵은 자율주행 자동차에만 국한되지 않고, 물리적인 지도와 데이터 통신, 공간정보가 융합되어 많은 산업영역과 연관 관계를 이루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의 디지털 맵 분야는 자동차 완성차 업체,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지도 업체, 교통 정보업체 등 그 외의 공간정보 산업체들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어서 그 산업 영역이 광범위하다. 그러나 자율주행자동차를 위한 디지털 맵의 국제표준 활동은 자율주행을 선도하는 국가위주로 논의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관련된 활동이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1세부 과제의 목적은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자율주행 디지털 맵 구축 현황 및 기술을 분석하고 국제표준 동향을 파악하여 자율주행 디지털 맵의 표준화 요소 도출과 국제표준화 참여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는 것이다.
2연구 범위 및 방법
- 자율주행 디지털 맵 표준화 연구동향 분석
- 국·내외에서 자율주행 디지털 맵 제작을 위해 수행되는 일반적인 디지털 맵 구축기술과 최신기술을 반영한 디지털 맵 구축기술 분석
- Here, TomTom, 국토지리정보원,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현대 MnSoft의 자율주행 디지털 맵 구축 현황 분석
- 지능형교통시스템 분야(ISO/TC204, OADF)와 공간정보 분야(ISO/TC211, OGC)의 국제표준화 활동 분석
- 미국, 일본, 유럽, 중국 등 국제표준을 대표적으로 주도하는 국가의 표준화 활동 및 정책방향과 국내에서 추진 중인 디지털 맵 표준화 동향 조사 및 분석
- 국제표준화 참여 및 전략적 대응 방안 마련
- 자율주행기술 개발 단계와 기술 개발 로드맵을 기반으로 국제동향에 부합하는 국제표준 이슈를 정의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의한 정밀도로지도 데이터 모델과 한국지능형교통체계에서 추진 중인 LDM 기능을 분석하여 국제표준화를 진행하기 위한 방안 수립
- 국제표준기구인 ISO의 표준절차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준화 개발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계획 및 로드맵 수립
3자율주행 디지털 맵 표준화 및 연구동향 분석
- 자율주행 디지털 맵 제작 기술 분석
- 항공영상을 활용한 디지털 맵 구축 방법
- 디지털 맵 제작 최신 기술 분석
- 자율주행 디지털 맵의 자동 도화 및 실시간 데이터 획득 시스템
3.1 국내외 자율주행 디지털 맵 구축 현황 분석
- 국외 자율주행 디지털 맵 구축 현황
- 국내 자율주행 디지털 맵 구축 현황
3.2 국내외 자율주행 디지털 맵 표준화 동향 분석
4국제표준화 참여 및 전략적 대응 방안 마련
- 자율주행 디지털 맵 표준요소 정의
- 자율주행 기술 발전 단계
- 자율주행 적용 기술 로드맵
- 자율주행자동차의 고정밀 디지털 맵의 역할
- 자율주행 디지털 맵 표준요소 정의
- 국내 자율주행 디지털 맵 기술의 국제표준화 방안 수립
- 국토지리정보원 정밀도로지도
-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표준화 동향
- 국제표준화 활동 전략 계획 및 로드맵 수립
- 표준체계 분류
- 표준화 절차 검토
- 고정밀 디지털 맵 표준화 전략계획
5결론
- 자율주행 디지털 맵 표준화 요소 도출
자율주행기술 개발 단계화 기술 개발 로드맵을 기반으로 국제동향에 부합하는 국제표준 이슈 정의
- 국제표준화 방안 수립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의한 정밀도로지도의 데이터 모델과 국내에서 추진 중인 LDM 기능을 분석하여 국제표준화를 진행하기 위한 방안 수립
- 국내 표준화 활동 전략 계획 및 로드맵 수립
국제표준기구인 ISO의 표준절차를 분석하여 표준화 개발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계획 및 로드맵 수립
<출처> 고속도로 정밀도로지도 효율적 구축 및 갱신체계수립 연구 전문
- 제목 : 고속도로 정밀도로지도 효율적 구축 및 갱신체계수립 연구
- 저자 : 웨이즈원㈜; (주)모빌리티시스템연구소
- 발행처 : 한국도로공사 디지털관리처
- 출판년도 : 2024-06-28
1과업 배경 및 목적
최근 내비게이션용 항법지도를 넘어 정밀도로지도가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정밀도로 지도는 차선 단위 등 상세한 정보를 3차원(위도, 경도, 고도)으로 담고 있으며, 자율주행에서 인지 범위를 확장시키는 센서의 기능까지 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도로운영관리, 자율주행 등 다양한 산업의 활용도가 증대하고 있는 중이다.
- 배경
한국도로공사는 스마트 유지관리, 디지털 기반시설구축, 지능형재난관리 등을 위해 정밀도로지도를 활용하여 고속도로 유지관리 디지털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도 자율주행을 위한 정밀도로지도의 구축 및 도로관리청의 도로변화 정보 제출 의무화가 추진되고 있다.
- 목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대부분 국가는 주요 인프라에 대한 디지털 기반 운영을 위한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가장 중요한 국토 인프라인 고속도로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체계적 관리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기존 고속도로의 경우 이정을 기반으로 정보를 취득하고 제공하는데 이는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타 분야에서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이에 본 과업은 정밀도로지도 활용 전략 로드맵을 수립하고, 효율적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기준 정립 및 갱신 체계를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2과업 범위 및 내용
- 공간적 범위
본 과업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 고속도로이며, 공간정보 관점의 공간적 범위는 정밀도로지도와 고속도로 운영 관리를 위한 객체 항목이다. 정밀도로지도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한 항목과 한국도로공사 업무 활용을 위해 요구되는 추가 객체 항목이 포함된다.
- 내용적 범위
1차년도 과업의 내용적 범위는 좌표 기반의 유지관리·교통업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활용 전략 및 로드맵 수립과 고속도로 정밀도로지도의 효율적 구축·운영을 위한 관련 기준 정립이다.
- 과업 수행 방법
본 과업은 한국도로공사의 정밀도로지도 활용 방안 제시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수행되었다.
3과업 내용
3.1 국내외 정밀도로지도 정책 및 기술 동향조사 및 타 기관 활용 사례
3.2 좌표기반의 유지관리/교통업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활용 전략 및 로드 맵 수립
3.3 고속도로 정밀도로지도의 효율적 구축/운영을 위한 관련 규정 정립
3.4 시범 구축
3.5 도로변화탐지 및 정밀도로지도 갱신 체계 정립
4결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고속도로도 국가 주요 인프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디지털로의 전환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나, 한국도로공사는 기존에 이정을 기반으로 도로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함에 따라 활용에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과업에서는 고속도로 정밀도로지도를 활용한 좌표기반의 도로교통관리 첨단화 지원을 위해 고속도로 정밀도로지도 효율적인 구축을 위한 로드맵 및 관련 기준 정립, 도로 변화 정보 수집 및 갱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도로공사는 단계별로 안정적인 ’스마트 유지관리‘, ’지능형 재난관리‘ 및 ’디지털 기반시설 구축‘이 가능하며,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서비스 구현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 제목 : 터널시공 중 디지털 맵핑을 통한 온라인 암판정 기술 및 운영모델 개발 최종보고서(제3차 연도)
- 저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행처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출판년도 : 2017-10-18
- 제목 : 미래 융·복합 도로교통환경을 대비한 정보수집체계 고도화 방안 연구(Study of the Advanced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Convergence Environment in the Future)
- 저자 : 이환필; 강성인
- 발행처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출판년도 : 2024-02
- 제목 : 디지털 국토통계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 저자 : 황만익(서울대학교); 강영복(충북대학교); 손일(경상대학교); 황철수(경희대학교); 정재곤(i mobile); 한국지도학회; 건설교통부 국립지리원
- 발행처 : 건설교통부
- 출판년도 : 2002-01
- 제목 : 정밀도로지도 공동구축 추진방안 연구
- 저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대한공간정보학회;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국토연구원; 현대 엠엔소프트(주)
- 발행처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 출판년도 : 2020-08
- 제목 : 고정밀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MMS용 복합센서 모델링지원연구
- 저자 : 오윤석; 정준화; 최현상; 이석기; 윤천주; 권영삼(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발행처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출판년도 : 2019-12
- 제목 : MMS를 이용한 지적재조사 프레임 구축 방안 연구
- 저자 : (사)한국측량학회; (사)한국지적연구소
- 발행처 : 국토교통부
- 출판년도 : 20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