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건설 : 빅 데이터 편
빅 데이터 정의
<출처> 구글
빅데이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계속 증가하는 매우 크고 다양한 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반정형 데이터 모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세트는 볼륨, 속도, 다양성 측면에서 매우 크고 복잡하기 때문에 기존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는 이를 저장, 처리, 분석할 수 없습니다.
연결, 모빌리티, 사물 인터넷(IoT), 인공지능(AI)과 같은 디지털 기술 발전에 힘입어 데이터의 양과 가용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계속 확장되고 확산됨에 따라 기업이 데이터에서 최대한의 가치를 얻는 데 필요한 속도로 데이터를 수집, 처리, 분석할 때 도움이 되는 새로운 빅데이터 도구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는 규모가 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가 빠르게 증가하는 크고 다양한 데이터 세트를 말합니다. 빅데이터는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머신러닝, 예측 모델링, 기타 고급 분석에 사용됩니다.
빅 데이터의 정의는 약간씩 다를 수 있지만 항상 양, 속도, 다양성의 측면에서 설명됩니다. 이러한 빅데이터의 특성을 흔히 '빅데이터의 3V'라고 하며 2001년에 Gartner에서 처음 정의했습니다.
<출처> 건설산업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확장을 위한 빅데이터 마이닝 사업화 기술 개발 최종보고서 전문
- 제목 : 건설산업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확장을 위한 빅데이터 마이닝 사업화 기술 개발 최종보고서(Development of Big Data Mining Technology to Expand Database Infrastructure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 저자 : (주)나인티나인;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조달연구원; (주)토펙엔지니어링; (주)아이엠이엔에이
- 발행처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출판년도 : 2022-03-18
1최종 목표
정보처리능력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빅데이터 마이닝 원천기술 개발을 기반으로, 방대한 건설사업관리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국내 건설사업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기 위한 사업화기술 개발
2전체 내용
- 건설사업관리 정보처리 및 운영의 획기적 개선 가능한 원천기술 개발
- 과학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기술 개발
- 건설산업 DB 인프라 확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개발
2.1 1차 년도 목표 및 내용
획기적 정보처리능력 개선을 위한 건설사업관리 정보통합 원천기술 개발
- 건설사업관리 관련 문서수집 및 정보운영현황 조사
- 빅데이터기반 건설사업관리 정보통합 원천기술개발
- 원천기술 성능검토를 위한 테스트베드 2건 운영
2.2 2차 년도 목표 및 내용
건설사업관리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기법 개발
- 건설사업관리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기법 연구
- 건설사업관리 빅데이터 마이닝 통합플랫폼 개발 2단계
- 테스트베드 2건 운영 및 추출-분석, 데이터베이스 신뢰성 검토
2.3 3차 년도 목표 및 내용
건설산업 DB 인프라 확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기술 개발
- 건설사업관리 선진화-지식화-과학화 방법론 개발
- 건설사업 프로젝트 DB 및 공공 DB 제작-배포
- 건설사업 DB 인프라 구축 및 확산을 위한 제도-정책 연구
- 건설사업 DB 신뢰성 검증 및 분석기술 성능검토
3연구개발성과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의 핵심인 빅데이터기술을 활용하여,
- 건설사업관리 정보 처리 및 분석의 획기적인 기술
- 건설사업관리 선진화-지식화-과학화를 지원하기 위한 분석기법
- 양적·질적 데이터 처리 능력의 혁신적 개선
- 신뢰성, 다양성, 대표성 있는 건설사업 DB를 발굴 및 확장할 수 새로운 패라다임 제시를 목표로 함
4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 계획
- 건설사업관리 정보 추출 및 분석 시스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각종 DB의 수집, 구축, 확장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한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 서비스 개선
- 미래지향형 일자리 창출, 고용확대를 위한 사업화 모델
- 신뢰성-다양성-대표성 있는 DB 확보를 통한 더불어 사는 공정한 건설산업 조성
- 기대효과
- 기술적 : 국내외 빅데이터 기술 표준 선점, 세계기술 선도, 빅데이터 강국 진입
- 사회적 : 적정공사비 지급 및 낙찰 수익성 보장에 따른 더불어 사는 사회 / 부당거래 근절, 하도급 질서 확립, 상호신용 계약, 공정한 사회
- 년 30억 원 규모 기술개발과 500억 원 규모 기술수요에 만족스러운 솔루션 확보, 정보 처리 및 운영에 필요한 경비 25%, 시간 50%, 노력 75% 이상 절감
<출처>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택시장 분석 및 예측 모형 개발 최종보고서 전문
- 제목 :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택시장 분석 및 예측 모형 개발 최종보고서(A Development of Analysis and Forecasting Model Using Big Data in Housing Market)
- 저자 : 국토연구원; (주)한국부동산원; 한국토지주택공사
- 발행처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출판년도 : 2022-02-28
1최종 목표
- 주택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택시장 분석 및 예측모형 개발
- 이를 위해 ① “데이터 및 통계기반 구축”을 위한 주택시장의 데이터 통합 및 통계 생산체계 고도화 기술 개발
- ② “시장분석·예측 기반 구축”을 위한 주택시장의 분석 및 예측모형 개발
- ③ “통계 및 모형의 공유와 활용기반 구축”을 위한 주택시장의 통합정보 플랫폼 기술 개발 등을 수행
- 주택시장 데이터의 통합 기반구축 및 주택시장 통계 생산체계 고도화 기술 개발 ⇒ 통합 통계 데이터베이스(DB) 구축과 통계의 신뢰성 제고, One Stop 자료 분석 실현
-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예측력과 주택정책의 효과분석 모형 개발 ⇒ 주택시장에 대한 종합적 진단과 예측, 주택정책 수립 지원 실현
- 수요자의 주택시장 통계 이용성과 정책적 활용 편의성 제고 ⇒ 사용자(정부 등, 일반국민) 중심의 편의성 제고, 시스템 확장의 용이성 확보 실현
2전체 내용
- 1세부과제는 주택통합 DB를 구축하여 2세부과제인 ‘주택시장의 분석 및 예측모형 개발’과 3세부과제인 ‘주택시장의 통합정보 플랫폼 기술개발’을 위한 분석용 DB를 제공하고, 기존 주택관련 DB 및 주택통계 생산체계 고도화, 업무프로세스 구축을 담당함
- 2세부과제는 1세부에서 구축된 통계기반을 토대로 주택시장의 분석 및 예측모형을 개발하는 과제로써, 2세부에서 개발한 모형은 3세부과제에서 실제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플랫폼에 안착되는 일련의 연계 구조를 가짐
- 3세부과제는 1세부 “주택 시장의 데이터를 통합 및 통계 생산체계 고도화 기술 개발” 과제와 2세부 “주택시장의 분석 및 예측 모형 개발” 과제를 큰 틀에서 플랫폼으로 담아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
3연구개발성과
3.1 1세부 성과
- 주택의 정의 및 주택표준분류체계 구축
- 주택등록번호 체계 개발
- 주택 통계생산체계고도화 보고서(주택 공급, 재고, 거래 및 가격 생산체계)
-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주택통합 DB)
- 주택시장 데이터 통계 품질보증시스템 개발
- 시스템별 통합 운영/업무 매뉴얼, 데이터 통합 업무협력 가이드라인
3.2 2세부 성과
- 위기진단모형 구축
- 거시계량모형 구축
- 미시분석모형 구축
- 상시모니터링 모형 제공
- 정책시뮬레이션 모형 구축
3.3 3세부 성과
“주택시장 통합정보 플랫폼 기술연구” 세부과제의 핵심연구 개발 성과는 아래와 같음
- 오픈플랫폼 아키텍처 수립
- 공통 인프라 자원구축
- NoSQL 기반 시공간 빅데이터 저장소
- 웹기반 오픈 분석 플랫폼 구축
- 분석 컴포넌트 구축 및 분석 시각화
- 사용자 주도분석 모형
- 부동산 정보 Open AP
- 주택시장 통합 운영관리 모델 등
4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주택의 정의 및 주택표준분류체계
자료상 식별되지 않는 주택통계 발굴, 자료 통합에 따른 자료의 재정의, 주택표준분류체계 제공, 現 기관별로 상의한 주택정의 및 분류체계를 하나로 통합
- 주택등록번호
인허가-준공-멸실의 주택의 생애주기 추적 가능성 확보 및 주택 통합DB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연계키 활용
- 주택 통계생산체계 고도화
- 주택 통합DB 구축 및 운영·관리
- 주택시장 데이터 통계품질보증시스템 구축
- 국가승인 통계 발굴 및 생산
- 주택시장 관련 통계생성 업무 매뉴얼
- 정부에서 주택 및 부동산정책 의사결정을 다양한 분야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축함에 따라 부동산시장의 정보 비대칭성을 완화하고 정책지원의 실효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 제목 :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속도로 신규노선 발굴기법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 저자 : 국토연구원
- 발행처 : 한국도로공사
- 출판년도 : 2023-12
- 제목 : 공공빅데이터 기반의 장애인 주차구역 불법주차, 불법 적재물근절을 위한 IoT플랫폼 번호인식 엔진의 인식성공율(99%) 개선과 임베디드(소형PC)용 객체인식과 라인디텍트 프로그램 고도화 최종보고서
- 저자 : (주)이노씨앤에스
- 발행처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출판년도 : 2023-05-26
- 제목 : 빅데이터 기반 고속도로 교통사고 예측기술 개발(Crash Prediction Techniques on Expressway Based on Big-data Analysis)
- 저자 : 김덕녕; 이태헌
- 발행처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출판년도 : 2023-02
- 제목 : 모바일 기반 데이터 생산기지 고속도로 구현 연구(The Highway Realization Research of Mobile Data Production-base)
- 저자 : 이원우; 이환필; 송미화; 강성인; 길흥배; 안현철
- 발행처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출판년도 : 2023-02
- 제목 : 교통 영상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돌발검지 기술 개발(최종보고서) (Development of a Traffic Video Big Data Platform and Incident Detection Technology)
- 저자 : 임성한; 장경찬; 안선영
- 발행처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출판년도 : 2022-12
- 제목 : 교통 안전 빅데이터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분석기술 개발 최종 보고서(Real-time Monitoring of Traffic Safety with Big Data and Development of Analysis Technology)
- 저자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행처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출판년도 : 2022-11-25
- 제목 : 빅데이터 기반 토지이용 변화 예측 및 공간계획 기술 개발 기획 최종보고서(Big Data based Strategic Plan of forecasting land use changes and developing spatial planning technology)
- 저자 : (주)빅밸류; (주)우대이엔피
- 발행처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출판년도 : 2022-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