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VE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제목 기계실 배관방법 개선안
주제 시설물분류 : 주거 및 상업시설 > 공동주택 > 아파트
공간분류 : 토목시설 공간 > 토목시설 유틸리티공간 > 급수시설
공종분류 : 기계설비공종 > 배관설비공사 > 관
요약정보 2.1 VE 테마개요(STEP1)
2.1.1 테마개요
(1) 크게는 성수대교의 용접불량으로 인한 붕괴사고로부터 작게는 우리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배관의 용접부위 누수 현상.
(2) 용접부위 산화현상으로 녹물발생, 슬러지로 인한 난방계통 순화불량 등으로 인해 세대 난방불량, 급수급탕 녹물발생 및 수압불량 등.
(3) SUS PIPE인 경우는 SUS PIPE 주성분인 니켈-크롬이 열에 의하여 산화되어 소실되므로 스텐 고유 성질을 잃어버림,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신도시 하자들 중에 용접이 한몫을 하고있는 실정임.
2.1.2 선정사유
(1) 당 현장은 기계실 배관의 특성상 기계실 HEADER 부위 온도계 분기를 규격 TEE 부속을 사용하면 부속크기로 인한 시공의 어려움(공간확보)이 있음.
(2) 용접배관시 용접으로 야기되는 문제점(관내 불순물 생성, 산화현상)으로 하자로 인한 인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
(3) 2항으로 인한 하자보수비가 많이 들며 기본적인 하자로 인한 시공사(건설사 및 협력업체) 명예실추가 우려.
2.1.3 개선방향 및 목표
(1) TEE 가공으로 인한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
(2) 용접개소를 줄여 용접으로 인한 문제점을 감소.
(3) TEE 접속부위마다 절단을 하지 않으므로 PIPE 수명연장 및 배관미 향상 추구.
(4) 공장 조립배관 병행 가능.
저자/발행처
발행일 1996-01-01 작성언어 한국어
원문보기 PDF  원문저장 다운로드
참고사항 본 자료는 공공/민간으로부터 수집한 특정 현장 적용사례로서 정부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기준 또는
지침이 아니므로, 각 현장이나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