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건설공사원가절감/VE
상세정보보기
제목 | 구조물 슬래브 균열방지 대책 | ||
---|---|---|---|
주제 |
시설물분류 : 운송 교통시설 > 교량시설 > 도로교 |
||
요약정보 |
2.1 VE 테마개요(STEP1) 2.1.1 테마개요 수처리 구조물(초침, 포기조, 종침)의 슬래브에 다량의 횡방향 균열이 발생하여 균열의 원인을 규명하고 적절한 방지 대책을 수립하여 구조적 안정성 확보 및 균열 보수비 등의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코자 한다. 2.1.2 선정사유 (1)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후 횡방향 균열(3∼4m 간격) 및 개구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균열이 발생 (2) 콘크리트 초기 응결과정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로 판단 (2.1) 습양생(기온에 따라 3∼7일간 양생포 및 살수한다. (2.2) 콘크리트 피막 양생제(CURING COMPOUND)도포한다. (2.3) 슬래브 거푸집, 동바리 해체기간 연장 (14∼21일후 해체 및 취약부위의 별도 SUPPORT설치) 등의 방법으로 초기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에방에는 효과적이다. (3) 온도변화시 횡방향 균열 및 개구부에서의 균열이 진전되거나 추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균열방지 대책 및 기발생한 균열에 대한 적절한 보수 방법을 모색하여 구조물에 대한 신뢰성 확보 및 보수비용 절감 방안을 찾고자 한다. 2.1.3 개선방향 및 목표 (1) 개선방향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온도하중에 의한 균열은 불가항력이라는 관념을 버리고 균열방지 대책을 강구하여 시공의 신뢰성 확보와 보수비용 절감 및 설계 반영 추진한다. (2) 목표 : 균열보수비 절감 |
||
저자/발행처 | 동아건설산업㈜ | ||
발행일 | 작성언어 | 한국어 | |
원문보기 | 원문저장 | 다운로드 | |
참고사항 |
본 자료는 공공/민간으로부터 수집한 특정 현장 적용사례로서 정부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기준 또는 지침이 아니므로, 각 현장이나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