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VE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제목 OO1교 가설동바리 시공법 개선
주제 시설물분류 : 운송 교통시설 > 교량시설 > 도로교
공종분류 : 토목공종 > 현장타설 콘크리트공사 > 거푸집 및 동바리
요약정보 2.1 VE테마개요(STEP1)
2.1.1 테마개요
000항 배후도로 건설공사 중 000항 컨테이너 전용부두에 인입한 연장 2.4Km 도로공사에서 P.C BOX 교량인 001교는(상하행 총연장 1,500m, 폭 11.15m) 초연약지반인 000항 켄테이너 부두축조현장에 건설되는 교량으로 주변지반의 특성(초연약지반)을 고려하여 H-BEAM BENT TYPE으로 설계가 되어 있으나 교량 가설공사의 시공성 저하가 예상되고 설계비용으로 본 공사를 완성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난공사로 지적되어 왔다.
V.E팀은 기존 설계공종에서 연약지반처리를 선시공함으로써 본 H-BEAM 가설자재를 LOAD TOWER로 시공법에 따른 문제점을 발췌하였고 시공성 향상 및 품질향상에도 큰 효과를 얻을 것을 전체로 삼았다. 설계에서 반영된 공종(연약지반 처리)과 주변의 양질토 확보가 쉽다는 점을 최대한 활용, 001교 가설동바리 시공법을 H-BEAM BENT TYPE에서 LOAD TOWER와 병행 시공함으로써 원가절감을 도모하고자 했다.
2.1.2 선정사유
교량가설공사 투입 자재가 철골 H-BEAM BENT 식으로 설계되어 있어 시공시 장비 및 인건비가 과다투입 예상되며, 안전측면 뿐만아니라 시공서이 복잡하고 작업효과성에도 크게 문제가 있다.
H-BEAM BENT 식은 교량연장이 길수록 공기 뿐만아니라 원가면에서 타당한 공법이 아니다. 다만 하천횡단 부분을 제외한 구간은 타 공법 시공을 검토해서 가능한 몇 개의 공법을 선정하였다. 이에 대해 VE팀을 편성하였고 상기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장 여건에 적합한 공법으로 개선하기 위해 VE테마로 하여 실시하게 되었다.
2.1.3 개선방향 및 목표
(1) 현장의 문제점
(1.1) 당초 설계는 가설 BENT 설치후 H-BEAM을 사용하여 교량 상부공을 지지토록 설계되었다.
(1.2) 가설 BENT 기초콘크리트는 지지지반가지 H-PILE로 지지되고, 시공완료 후 철거하여 반복 사용토록 설계되었다.(6 span분 반영, 5회 사용)
(1.3) 가설 BENT TYPE 시공법은 공기지연 및 안전시공에서 좋은 공법이 아니다.
(1.4) 현장조건은 가설동바리지지 지반이 초연약지반이고 토질조사 보고서에 의해 연약지반층의 두께가 약 15M가 예상되며 단곡선(R:300M) 구간의 교량은 BENT TYPE 이외의 타 공법 선정에 어려움이 있다.
(1.5) 가설 BENT 공법은 노무비, 장비비가 설계금액으로 시공이 불가능하며 공기가 길다.
(1.6) 하부공 평균높이 9M 정도로 연약 지반계량이 가능한지 공법검토가 요구된다.
(2) V.E 추진 FOLLOW CHART
저자/발행처 동아건설산업㈜
발행일 작성언어 한국어
원문보기 PDF  원문저장 다운로드
참고사항 본 자료는 공공/민간으로부터 수집한 특정 현장 적용사례로서 정부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기준 또는
지침이 아니므로, 각 현장이나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