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VE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제목 골조 공사기간 단축(SLAB 거푸집 2벌 사용)
주제 시설물분류 : 주거 및 상업시설 > 공동주택 > 아파트
공종분류 : 건축공종 > 철근콘크리트공사 > 거푸집 및 동바리
요약정보 2.1 VE 테마개요(STEP1)
2.1.1 테마개요
2.1.1.1 VE 목적
(1) 분양성 제고
(2) 원가절감 또는 설계 질을 높일 수 있는 설계대안 발굴
(3) 시공성 개선 또는 실질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상세설계나 공법 발굴
(4) 공사기간 단축
(5) 기존 설계에서 해결치 못하고 있는 취약분야 설계개선
(6) 토목, 조경, 기계 및 전기설비 등 부대 시설부문 설계개선안 도출
(7) 반복적용빈도가 높은 단위세대나 공통적용부분에 대한 설계개선안 도출
(8) 신기술, 신자재 발굴
(9) 마케팅 또는 제도적 측면과 연계한 개선의견 수렴 등
2.1.1.2 시행범위
(1) 모든 공종, 분야를 대상으로 하며 개선범위와 분야에 대해 특별한 제한 없음.
(2) 설계도서 이외의 부분에서도 개선사항 제시 가능
2.1.1.3 제약요인
(1) 건설호수, 평형배분, 층수, 동 위치조정 등 전반적 재배치가 가능하나 상위계획범위 내에서 조정이 이루어져야 함.
(2) 기초부분은 샘플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추정설계 상태에서 개선방안 검토
2.1.1.4 VE 추진단계별 절차
2.1.1.5 VE 추진단계별 적용기법
(1) 준비단계
(1.1) 정보수집
(1.2) 사용자 요구측정
(1.2.1) 품질모델
(1.2.2) 요구측정 체크리스트
(1.3) 대상선정
(1.3.1) Cost Model Ⅰ
(1.3.2) Cost Model Ⅱ
(1.3.3) 비용 · 성능 평가기법
(1.3.4) 복합기법 Ⅰ
(1.3.5) 복합기법 Ⅱ
(2) 분석단계
(2.1) 기능정의 : 명사 + 동사
(2.2) 기능정리
(2.2.1) 전통적인 기능계통도
(2.2.2) 사용자중심 기능계통도
(2.2.3) 기술적인 기능계통도
(2.3) 기능평가
(2.3.1) 과거자료법
(2.3.2) FD법, WDM법
(2.3.3) 부정합법
(2.4) 아이디어 발상 : 브레인스토밍
(2.5) 개략평가 및 구체화
(2.5.1) 개략평가 양식
(2.5.2) 체크리스트 법
(2.6) 상세평가 및 대안개발 : 매트릭스 평가법
(2.7) 제안 및 발표
(3) 실행단계 : 실시 및 후속조치
2.1.1.6 VE팀 구성 및 정보수집
(1) VE팀 구성 : VE 수행을 추진함에 있어서 먼저 팀을 구성하였다. 팀원은 가능한 각 분야의 전문가가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나, 전체 VE 추진기간과 현실적인 작업여건 등을 고려하여 건축공사 및 단지계획 분야의 전문가들로만 구성하였다. 팀 구성원 및 업무분야는 아래와 같다.
(1.1) VE 조정자 : VE운용의 총괄
(1.2) 분야별 전문가팀
(1.2.1) 단지계획분야
(1.2.2) 건축분야
(1.3) VE 운용팀 : VE 운용
(2) 정보수집 : 본 팀에서는 VE팀을 구성한 후 곧바로 정보수집을 수행했다. 먼저 1차적인 정보수집은 발주자 측에서 제시한 단지배치, 설계정보, 시방서, 도면 등을 면밀하게 조사하고 그 내용을 숙지하는데 주력하였으며, 2차적으로 OO공사의 특성과 민간건설업체와의 차이점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2.1.1.7 사용자 요구측정
본 팀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측정을 위하여 품질모델 기법을 적용하였다. 대상 프로젝트에 대한 요구정도의 측정은 발주자와 사용자의 입장으로 나누어 행하였다. 팀원의 장시간 협의 끝에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주자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양성, 시공성 등 총 9개 항목으로 도출하고 이에 대해 각 항목별로 5등급하고, 팀원 모두의 점수를 평균하여 3점 이상인 항목은 적극적 대응 항목으로 분류하고 2점 이하의 경우는 소극적 대응항목으로 분류하였다.
2.1.1.8 대상선정
VE 대상선정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은 고비용 분야 선정기법, Cost to Worth기법, 비용 · 성능평가 기법, 복합평가 기법, 가중치 부여 복합평가 기법, 착수순위 결정표 등 다양한 기법이 있지만, 본 팀의 특성을 고려하여 VE 대상선정 운용기법은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본 팀에선 VE 대상선정 단계를 2단계로 구분하였다. 단계별 대상선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1) 단계별 대상선정
(1.1) 1단계
(1.1.1) 건축공사
(1.1.1.1) 발주자의 대공종별 공사비 분석
(1.1.1.2) 팀원의 전문분야 분석
(1.1.1.3) 팀원의 협의를 통하여 건축 공사 선정
(1.1.2) 단지배치 계획
(1.1.2.1) 대공종(건축, 토목, 기계, 전기·통신) 등을 제외한 분야에 대한 아이디어 제시
(1.1.2.2) 팀원 전문분야 분석
(1.1.2.3) 단지 배치 계획 선정
(1.2) 2단계 : 건축공사
(1.2.1) VE 대상선정 기법 검토
(1.2.2) 팀원의 전문성 검토
(1.2.3) 건축공사에 적합기법 분류
(1.2.4) 현실적인 여건 고려
(1.2.5) 상기사항을 고려하고 팀원의 협의를 통해 가중치 부여 복합평가 기법 선정
(2) VE 대상선정
(2.1) 1단계
(2.1.1) 아래 그림과 같이 발주자의 대공종별 공사비 분석을 통하여 공사비 비중이 높은 공종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팀원의 전문분야를 고려하여 건축공사를 우선적으로 VE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1.2) 각 팀원의 전문분야를 고려하고, VE 수행의 효과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단지배치 계획분야를 팀원의 협의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2.2) 2단계 : VE 대상선정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선정된 단지배치 계획과 건축공사를 대상으로 VE 대상 선정기법을 적용하였다. 건축공사 중에서도 중공종별로 VE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가중치 부여 복합평가기법을 적용하였다. 대상선정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2.1.2 선정사유
해당사항 없음.
2.1.3 개선방향 및 목표
해당사항 없음.
저자/발행처 동아건설산업㈜
발행일 작성언어 한국어
원문보기 PDF  원문저장 다운로드
참고사항 본 자료는 공공/민간으로부터 수집한 특정 현장 적용사례로서 정부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기준 또는
지침이 아니므로, 각 현장이나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