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차선도색 시행기준(안)
한국도로공사
1. 일반현황

(1) 교통량의 증가에 따른 차선의 조기마모와 교통지정체에 따른 민원을 해소하고 시인성에 대한 이용고객의 요구수준에 부응하고자 함
공사 > 한국도로공사
부대공
건설일반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도로운송시설>자동차 도로;공종분류>토목공종>도로 및 포장공사>도로공사 부대공

2. 현황 및 문제점



2.1
추진경위


(1) 도로처 중기전략 수립 (2002)


(1.1) 노면표지(차선도색) 성능향상 : 야간반사도 150200 mcd/lx/


(1.2) 신공법 확대로 보수주기 연장 : 차선도색 0.5 1


(2) 포장가속시험기를 이용한 차선도색재의 마모시험(2002. 8.~2003. 7) : 14개 종류의 일반 및 특수차선 도색재료의 마모시험


(2.1) 도색재료별 불점착 건조시간 측정


(2.2) 포장가속시험기 통과 횟수별 물성치 측정 : 건조 및 습윤시의 내구성, 휘도 및 미끄럼 저항성 측정


(2.3) 현장적용시 적정 내구성 기준판단을 위한 실내마모시험


(2.3.1) 5.1절 차선도색재료 마모시험 결과


(2.3.2) 5.2절 실내마모시험 기준회전수 산정


(3) 차선도색 적용기준 개선을 위한 시험시공(2003. 5~2003. 11)


(3.1) 5개 종류의 차선도색재료에 대한 시험시공


(3.2) 차로별 일교통량 17,000대 이상인 콘크리트 포장 및 아스콘 포장img049001.gif
 



(3.3) 시험시공구간 휘도비교img049002.gif 



(3.3.1) 5.3절 시험시공 휘도측정 결과


(4) 고속도로 최소반사도 관리기준 설정 연구(2002. 2~2003.11)


(4.1) 시인성 관련 고객대상 직접실험(49), 도로교통기술원


 


2.2 현행시행기준img049101.gif


3. 개선내용


3.1 차선도색 변경 기준()img049201.gif 



(1) 실내마모시험 기준 : 150,000회 통과시 200이상 및 200,000회 통과시 150 이상 유지


(2) 재 도색기준 근거 : 도로교통기술원 최소반사도 (황색 120, 백색 150)


 


3.1.1 기대효과


(1) 도색주기 연장으로 교통지정체 최소화를 통한 비용 절감 : 연간 28


(1.1) 5.4절 공사비 및 교통지체비용 산출


(1.2) 공사비 증가액 : 0.25, 지체비용 절감액 : 28


(2) 시인성 증대에 따른 이용객 서비스 제고 및 사고율 감소


(2.1) 5.5절 휘도와 교통사고와의 관계(도로교통기술원 2003)


(3) 우수재료에 대한 문호개방(도입절차 개선)

4. 결론



4.1
적용방안


(1) 교통사고 취약구간 및 우천시 시인성이 요구되는 구간은 차선의 기본 기능외의 부가기능을 가진 차선도색재료 적용 가능


(돌출형 차선 및 수막방지형 차선재료 등)


(2) 제설작업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마모가 발생한 구간은 일반차선으로 시인성 확보


(3) 일반차선(가열형, 상온형) 구간에 대한 교통량별 관리기준 및 버스전용차선의 휘도는 1년간 현장 검증을 통하여 별도 수립 예정


(4) 휘도의 검사방법은 2003 포장보수차선도색 설계 및 시공지침을 준용하되 휘도의 관리기준은 교통량 등급에 따라 적용


(5) 포장공법별 도색방법


(5.1) 다공성 아스팔트 포장(SMA) 신설구간 도색방법 : 가격이 저렴한 도색재료로 1차 시공(유리알 제외)2차 본도색
img049301.gif 



(5.2)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에는 신설구간 도색시 초기 부착강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레이턴스 제거 후 실시


 


4.2 협조사항


(1) 차선도색 보수주기 연장관련 대외홍보(홍보실)


(2) 이동식 휘도 측정기 조속 도입(도로교통기술원)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