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강구조물 도장공법 다양화방안 검토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강교도장 적용기준(설심일 13201-639, ‘99. 7. 7)이 정립되어 있으나 도로교 표준시방서(2005)가 개정됨에 따라 강교도장 적용기준을 개정된 시방규정에 맞추어 정립하고자 함.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기타 | |||
건설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교량시설>도로교;공종분류>토목공종>강구조물공사 | |||
2. 현황 및 문제점
(1) 강교도장 적용기준 변경 (설심일13201-639, ‘99. 7. 7) (3.1) 환경구분
2.2 문제점 (1) 기존 도장공법 설계기준이 공사성격(신설, 확장, 재도장 등)을 고려치 않고 일률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공사특성을 반영치 못함 (2) 상수원 보호구역 횡단교량의 경우 도장재 비산시 환경관련 민원발생 우려 (3) 도로, 철도 횡단의 경우 하부도로 교통차단으로 교통제한요소 발생 (4) 재도장, 가시설 설치, 교통차단 등 추가시설에 대한 경제성 미 검토 2.3 도장공법 비교(외부도장 기준) |
|||
3. 개선내용
3.2 검토 의견 (1) 염화고무계, 역청질계 및 콜탈 에폭시계 도료는 유해물질 발생 등 문제로 건교부 제정 도로교 표준시방서(2005)에서 제외하였으므로 신설교량 도장 시방서에서 제외 (2) 메탈라이징은 환경성이 우수하나, 공사비 측면에서는 세라믹계 우레탄이 유리함 (3) 세라믹계 우레탄이 부식, 백화, 부착력, 및 블리스터링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색변화 측정값 또한 가장 미소하게 나타남 |
|||
4. 결론
(1) 강교도장 다양화 방안에 대한 검토결과 (3) 상기 적용도장에 대한 품질기준 및 시험방법은 도로교 표준시방서(2005. 2) 제6장 강교용 도료의 품질관리기준과 강교의 금속용사 적용지침(연구개발실-1058, ‘05.4.29)을 만족해야 함 (4) 실시설계중인 노선에 적용 4.2 향후 과제 (1) 각 도장재료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 분석이 필요 (2)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개정시 본 방침내용 수록 예정 |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