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낙석방지울타리 형식 적용 방안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1) 길어깨 측면에 설치되는 절토사면 낙석방지 울타리(토공용, 옹벽용)를 설치함에 있어 (2) 유지관리 및 경제성 측면 등을 감안하여 합리적인 적용방안을 수립코자 함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부대공 | |||
건설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도로운송시설>자동차 도로;공종분류>토목공종>도로 및 포장공사>교통안전시설 | |||
2. 현황 및 문제점
(1) 형식별 현황 2.2 문제점 “토공용 형식1”이 “옹벽형 형식2”보다 불리 (1) L1형 측구 높이가 낮아 배면에 설치되는 낙석방책 충격우려 (1.1) 낙석방책 파손 등 유지관리 불리 (1.2) 차량 충격시 대형사고 우려 등 교통안전 측면 불리 (2) 시선유도시설 설치 어려움 (3) 공사비 고가, 시공성 불리 (3.1) 낙석방지울타리 콘크리트기초 규격이 큼 (3.2) 경제성 비교(직접공사비) |
|||
3. 개선내용
(1.1) “토공용 형식1(L1)” 적용구간의 낙석방지 울타리는 “옹벽용 형식2(L2)”로 변경 (1.2) 공정 및 현장여건상 부득이한 경우는 “토공용(L1측구)”로 시행 |
|||
4. 결론
(1) 유지관리 용이 (1.1) 차량 충격시 울타리 파손우려 적음 (2) 교통안전 측면 유리 (2.1) 차로이탈차량 충격시 대형사고 예방 (3) 시선유도시설 설치용이 (4) 콘크리트 기초가 작아 공사비 저렴 및 시공성 유리 (4.1) 절감액 : 익산-장수 등 14개구간 1,860 백만원 |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