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콘크리트포장 줄눈 표준화 방안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현재 복잡하게 적용하고 있는 콘크리트포장 줄눈(다웰바)에 대하여 시공성과 자재관리의 용이성을 고려한 표준화 방안을 검토코자 함.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포장공 | |||
건설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도로운송시설>자동차 도로;공종분류>토목공종>도로 및 포장공사 | |||
2. 현황 및 문제점 2.1 추진경위 (1) ‘02. 10. 24 : Undowel 콘크리트 포장 추적조사 결과 및 설계기준개선 검토(도로포09205-212) (1.1) 호남선 300m('86년 시공) 및 중부선 832m('87년 시공) 추적조사결과 사용성 및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가 없음 (1.2) 다웰바 삭제 또는 포장두께 축소 가능 (2) ‘03. 3. 13 : 다웰바가 없을 경우 하중전달계수(J) 조정적용(안) 설계자문위원회 기술심의 실시 (2.1) 다웰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하중전달계수(J)=3.2 잠정 적용 (2.2) Undowel 콘크리트 포장의 적용은 점진적으로 시행 (3) '03. 4. 10 : Undowel 콘크리트 포장 제한적 적용(신설노선) (3.1) 중부내륙선 3,998m, 대구~포항간고속도로 1,500m (3.2) 공용후 2년간의 평탄성 및 사용성에 대한 추적조사 및 평가후 확대적용 여부 결정(도로교통기술원, 도로처) (4) ‘03~현재 : 다웰바 사용시 하중전달계수(J) 적용 연구 (도로교통기술원) 2.2 현행 설계기준 및 문제점 2.2.1 설계기준 (1) 국내 (1.1) 줄눈(7개 형식)
(1.2) 다웰바(21개 형식)
(2) 국외
(3) 줄눈(다웰바)의 역할 (3.1) 콘크리트포장 슬래브간 하중전달 (3.2) 콘크리트포장 줄눈부의 수축ㆍ팽창 수용 및 균열 유도 2.2.2 문제점 (1) Undowel 콘크리트 포장 추적조사 결과 다웰바 삭제는 가능하나 현재 추가 추적조사 및 확대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임 (2) 차종별 차로 통행을 지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행이 안되고 있음 (2.1) 휴일 버스전용차로제, 화물차 및 중차량 1차로 통행 (2.1.1) 교통흐름에 따른 주행, 추월차로 구분 불필요 (3) 다웰바 간격을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비용이 과다 소요 (4) 줄눈의 종류가 많아 자재 관리 애로 (5) 다양한 포장줄눈 형식으로 설계자 혼선 초래 (5.1) Con'c 포장+Con'c 길어깨 : 줄눈 → Con'c 포장+아스콘 길어깨 (5.2) 중분대측 형식 불필요 → 일부설계 적용 |
|||
3. 개선내용 (1) 줄눈형식 단순화
(2) 다웰바 간격 (2.1) 주행차량의 포장면내 바퀴 접촉구간 다웰바 보강(30~45cm→30cm) (2.2) 개요도 |
|||
4. 결론 (1) 현재 복잡하게 적용하고 있는 줄눈형식을 7개에서 4개로 간소화하고, (2) 다웰바는 시공성과 자재관리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간격을 표준화하여 적용 (3) 본 방침은 Undowel 콘크리트 포장 추적조사 및 확대적용 결정시까지 잠정적용 (4) 적용방안 (4.1) 설계완료후 미발주 및 설계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4.2) 공사중인 노선 : 공사주관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