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ILM교량 받침부 Insert Plate 개선 방안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1) ILM 교량 받침부 CON'C 손상 예방을 위한 Insert Plate 개선 방안을 수립코자함 (1.1) 관련문서 : ILM 교량 받침 CON'C 손상발생 및 원인분석 결과 통보 (구조물처-1133호, 2008.5.19)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교량·구조물공 | |||
건설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교량시설>도로교;공종분류>토목공종>교량공사>교량부속시설공 | |||
2. 현황 및 문제점
(1) 전반적으로 매립철판 주위에 콘크리트 균열 및 들뜸 발생 (2) 일부구간에서 Insert Plate 단부 콘크리트 파손 및 박락 발생 (2.1) 매립플레이트 두께 깊이(3cm)로 콘크리트 균열 및 들뜸 (2.2) 매립플레이트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약 25~30cm 콘크리트 파손 2.2 결함 원인 (1) 프리스트레스 및 크리이프 등으로 Insert Plate(강재)와 인근 콘크리트와의 변형차에 의한 응력발생 (2) PSC 박스거더 압출과정에서 Insert Plate 인접 콘크리트에 마찰에 의한 수평력 발생 |
|||
3. 개선내용
(1.1) 전단연결재 변경 (Anchor형식→ Stud형식) (1.1.1) 효과 : 프리스트레스, 크리프 및 압출시 발생 응력 대응 (1.2) Insert Plate 모서리부 곡선처리 (1.2.1) 효과 : 국부적인 응력집중에 의한 콘크리트의 균열발생 방지 (2.1) 효과 : 모서리 콘크리트의 박리나 탈락 예방 (3.1) Insert Plate와 주철근사이의 골재 순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철근 피복을 증가(15mm)시켜 콘크리트의 다짐에 대한 품질 확보. |
|||
4. 결론
(2) 설계완료 및 공사중인 노선 : 공사주관부서에서 판단 적용 |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