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강핑거형 신축이음장치 관리방안
한국도로공사
1. 일반현황

(1) 강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적용현황 및 주요 손상원인 분석
(2) 강핑거형 신축이음장치 시공 및 유지관리시 관리방안 제시
공사 > 한국도로공사
교량·구조물공
건설일반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교량시설>도로교;공종분류>토목공종>교량공사>교량부속시설공

2. 현황 및 문제점

2.1 관련 방침 내용

(1) 교량신축이음장치 적용형식 검토 [구조계 11107-19, 2002.7.11]

(1.1) 신축량 100mm이상으로, 소음민원이 예상되거나 교통량이 많아 보수작업이 어려운 구간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권장

(1.2) 강핑거형의 경우 소음발생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

(2) 핑거조인트 설계기준 및 개선방안 [설계설 10207-138, 2004.5.12]

(2.1) 설계하중, 설계방법 등에 대한 세부기준 마련

(2.2) 핑거판, 앵커볼트 등 주요부재의 품질기준 개선

(3) 교량 신축이음장치 누수방지시설 검토 [설계처-1859, 2008.7.11]

(3.1) 신축이음장치 하부 배수처리시설 개선

 

2.2 강핑거형 신축이음장치 종류

(1) 고정형식에 따른 분류

img029101.gif
 

(2) 볼트형태에 따른 분류

img029102.gif 

 

2.3 설치 및 손상현황

(1) 본부별 강핑거 현황

img029201.gif
 

(2) 손상유형

(2.1) 앵커볼트 부분

img029202.gif
 

(2.2) 핑거판 부분

img029203.gif 

 

2.4 손상 원인 분석 





 손상이 발생한 12개소 볼트 고정방식에서 발생


 

 

(1) 손상유형별 발생원인

img029301.gif 

img029401.gif

3. 개선내용

(1) 핑거판과 베이스판 밀착여부 관리 철저 (일반볼트 형태)

(1.1) 베이스판 상부, 핑거판 하부에 볼록형 요철 발생 여부를 자재 검수시 확인 철저

(2) 후타 콘크리트 타설시 충진 및 연단거리 확보 여부 확인 철저

(2.1) 긴볼트 형태의 경우 최소 연단거리 필히 확보

(2.1.1) 핑거판의 안정적 거동을 위해 최소 연단거리 내 모따기 제한

(2.2) 베이스판 하부 콘크리트 충진 관리 철저

(3) 볼트체결 관리

(3.1) 핑거판을 베이스판에 정착시키는 일반볼트 형태 권장

(3.1.1) 볼트체결은 F10T 이상의 규격으로 마찰이음 방법을 사용하되, 볼트규격에 따른 적정 토크치 도입(항복강도의 75~85% 수준)

(3.2) 과도한 토오크가 도입된 볼트 제거 및 볼트 재사용 금지

(3.3) 핑거 끝단의 처짐, 진동에 의한 영향 등을 고려하여 신축량 250mm 이상의 경우 보조볼트 체결 내구성 향상

img029501.gif
 

(4) 물받이 청소 및 일상유지관리 철저 시행

(4.1) 물받이 부위 주기적 청소로 이물질에 의한 신축 저해요인 제거

(4.2) 청소 등을 위해 핑거판 볼트를 해체한 경우 볼트 재사용 금지

4. 결론

4.1 향후 조치계획

(1) 공사주관(시행)부서

(1.1) 볼트체결 방식의 강핑거형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판을 베이스판에 볼트로 정착시키는 형식을 우선 적용하고,

(1.2) 신축량이 큰 경우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보조볼트로 보강하며,

(1.3) 손상 원인 및 방지대책을 고려하여 시공시 품질관리 철저

(2) 유지관리부서

(2.1) 강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물받이 부위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2.2) 이상 소음이나 진동 발생시 신속한 보수가 될 수 있도록 조치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