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저소음·배수성포장 적용방안 검토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도로주행시의 주행안전성 증진과 소음저감을 위하여 저소음ㆍ배수성 아스팔트포장 적용방안을 검토코자 함.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포장공 | |||
건설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도로운송시설>자동차 도로;공종분류>토목공종>도로 및 포장공사 | |||
2. 현황 및 문제점
2.1.1 국내 (1.2) 소음평가 결과 저소음포장이 SMA 13mm 포장에 비해 3.1dB, 밀입도 포장에 비해 3.9dB 소음감소 (2) 서울시 (2.2) 추적조사 결과(2006. 10 시공구간 대상) (2.2.1) 전반적으로 포장상태 양호하며 현장투수시험 결과 총 30개소중 27개소가 측정기준 이내(2007. 5) 2.1.2 외국 (1) 미국 (1.1) 소음감소효과 우수 : 밀입도 포장에 비해 3dB 감소(차량속도 80km/hr (1.1.2) Dense HMA(Hot Mix Asphalt) : 밀입도 아스팔트 (1.1.3) OGFC(Open-Grade Friction Course) : 개립도 마찰층 (1.2) 물 튀김, 물보라 현상과 섬광현상 감소 : Oregon주 (1.3) 젖은 도로포장 상태에서 마찰저항성 증가 <미끄럼저항성 비교(Pennsylvania)> (2.1) 2001 구조령 개정으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배수성포장 적용을 원칙 (2.2) 배수성 포장이 소음감소효과 우수 (3) 유럽 (3.1) 소음저감 효과를 목적으로 다수의 국가에서 배수성포장 적용 : 1990년 이후 급격히 확대(독일, 네델란드, 프랑스, 벨기에 등) (3.1.1) 독일 : 1990년부터 소음저감 등과 관련 적용이 증가 (3.1.2) 오스트리아 : 일부 터널을 제외하고 전면적으로 배수성포장 적용 |
|||
3. 개선내용
(1) 도심지구간 소음관련 민원 지속 발생 (1.1) 소음관련 분쟁현황(2004년 이후, 환경팀자료 참조)
(2.1) 최근 10년간 전체사고건수 대비 빗길 교통사고율이 평균 20%(12~24%) (2.2) 평면곡선 및 종단경사 변화구간 사고건수가 일반구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 (2.2.1) 88고속도로 등 4개노선 비교분석결과 : 일반구간 78건, 변화구간 149건 (2.2.2) “고속도로교통사고 통계자료(한국도로공사, 2007)” 참조 3.2 적용성 검토 (1) 경제성 (1.1) 포장공사비 (1.2.1) 교통소음 저감 3dB 효과→방음벽 높이 2m의 대체효과와 동일 (1.2.2) Highway Noise Barrier Design Handbook(FHWA) : 방음벽 1m Height = 소음 1.5dB 감소 → 절감비용 : 351백만원/km (1.3) 사고 발생비용 절감효과 (1.3.1) 빗길사고 발생현황(“2008 고속도로 교통사고 통계자료” 참조)
(1.4) 분석결과 (1.4.1) 초기공사비 측면에서는 다소 투입비용이 증가하나, 방음벽 설치 및 사고발생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효과 유리 (2.1) 먼지 등으로 공극막힘 현상 발생 : 기능저하 예방대책 강구 필요 (2.2) 국ㆍ내외의 주요 적용사례 (2.2.1) 서울시 : 고압세척 방법 적용예정(장비 개발중, 2010부터 사용예정) (2.2.2) 중국 : 고압세척 방법적용 (2.2.2.1) 효과분석결과 : 표면에서 깊이 1.5cm 정도 범위까지 청소효과 (2.2.3) 일본 : 과산화수소, 고압수, 흡인(suction) 등 계속 연구개발중 (2.3) 기능회복 처리방법 (2.3.1) 화학적방법 :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한 세척 (2.3.2) 물리적방법 : 고압수 이용한 세척, 고압수+흡인, 압축공기 등 (2.3.3) 다양한 처리방법을 통한 기능유지 방안 도입 필요 |
|||
4. 결론
(1) 적용방안
(2.1) 곡선부 중분대배수
(2.4) 기타사항 (2.4.1) 배수기능층 홈 설치 (2.4.1.1) 편경사 변화 시ㆍ종점부 및 일반포장과의 접속부 (2.4.1.2) 연장이 긴 경우 : 효과적인 횡배수 능력을 고려 “400m 간격” 설치 (2.4.1.3) 절토부는 집수정, 성토부는 도수로 측으로 유도배수 처리 (가능한 인접부에 기 계획된 도수로 등의 위치조정으로 계획) (2.4.2) 유지관리(기능회복) 방안 (2.4.2.1) 일본, 중국에서 기 적용 중이며 검증된 “고압세척에 의한 방법”이 적정할 것으로 판단되며 (2.4.2.2) 현재 서울시에서의 기능유지 장비개발 등의 여건을 고려시, 우리공사 시행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추진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2.4.2.3) 1단계 : 고가 장비로 초기 사용빈도가 크지 않음을 고려시 서울시와 청소장비를 공동활용하는 방안(협약 등) 추진 (2.4.2.4) 2단계 : 우리공사에서 소요장비 직접 구입 및 운용체계 구축 (2.4.2.5) 1단계가 원활하지 못할경우 2단계로 추진하는 방안 적극 강구 (2.4.3) 품질확보방안 등 세부사항 (2.4.3.1) 재료, 시공시에 대한 품질확보 및 동절기 취약부발생 예방방안 등은 도로교통연구원 관련 연구결과를 적용토록 향후 시방서 보완 4.2 적용방안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