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신축이음장치 개선 적용방안
한국도로공사
1. 일반현황

(1)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사용년수, 파손유형등 사용실태 검토를 통해 유지관리에 유리한 형식을 적용하고 내구수명을 향상코자 함
(2) 『2009. 2. 26 구조물담당자 워크샵 中지역본부ㆍ지사 건의사항』
(2.1) 현재 고속도로 신설공사의 신축이음장치 설계 및 시공시 적용하고 있는 모노셀 형식을 유지관리시 적용하고 있는 뉴모노셀 형식으로 적용되도록 요청(사유 : 내구성 유리)
(3) 『레일식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 향상방안(제안1등급)』확대적용
(3.1) 지지부속장치의 주기적 교체에 의한 레일식 신축이음장치 내구수명 향상
공사 > 한국도로공사
교량·구조물공
건설일반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교량시설>도로교;공종분류>토목공종>교량공사

2. 현황 및 문제점



2.1
신축이음장치 적용실태


(1) 추진경위


(1.1) 교량 신축이음 시공개선 검토설계이 13201-30331(1999.8)


(1.1.1) 트랜스플렉스(TF)형식은 연약지반, 기존형식 교체시를 제외하고 사용지양


(1.1.2) 고무판형식[NB(ACE),TF]은 사교에서 사용을 지양하고 모노셀,레일식 사용


(1.2) 하자현황 분석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적용형식 검토구조계 11107-19(2002.7.11)


(1.2.1) 유지관리를 고려한 규격별 신축이음장치 형식기준 설정


(1.3) 핑거조인트 설계기준 및 개선방안 검토설계설 10207-138(2004.5.12)


(1.3.1) 핑거조인트의 설계하중, 설계방법, 재질, 곡선교사교 적용방안등 기준 수립


(1.4) 강핑거형 신축이음장치 관리방안구조물처-443(2009.2.12)


(2) 현 적용기준구조계 11107-19(2002.7.11.)
img030401.gif

(3)
사업단계별 신축이음장치 적용실태



img030501.gif 



2.2
적용상 문제점


(1) 단계별(신설/유지관리) 적용형식 상이


(1.1) 신설(확장)공사


(1.1.1) 설계 : 고무형식- 주로 모노셀NB조인트, 강재형식- 주로 레일식강핑거


(1.1.2) 시공 : 고무형식- 주로 모노셀, 강재형식- 주로 레일식강핑거


(1.2) 유지관리공사


(1.2.1) 설계(시공) : 고무형식- 주로 뉴모노셀, 기타(모노셀,NB,TF)


강재형식- 주로 레일식강핑거


(1.2.2) 고무형식의 경우 신설공사와 유지관리공사의 적용형식 상이


(2) 형식별 특정결함 지속발생 및 레일식 보수비용 과다 소요


(2.1) 고무형식


(2.1.1) 교체사유의 대부분이 반복적 차륜 접지에 의한 고무재의 파손


(2.1.2) 분절부(1.8m단위) 방수취약에 따른 누수(코핑부 열화원인)


(2.2) 강재형식


(2.2.1) 레일식 : 지지부속장치(지지빔, 베어링) 파손, 레일파손


레일식(WSF) 신축이음 파손 메카니즘 : 베어링파손 지지빔 파손 레일파손 (하중전달경로의 역방향)
img030601.gif

(2.2.2)
강핑거 : 고정볼트 결함(파손,풀림), 핑거판 단차(솟음)


레일식 신축이음장치 파손으로 인한 전면교체비용 : 최근 5년간 96
img030701.gif
*
준공 5년미만 파손 : 16개소(10%), 준공 6년미만 파손 : 35개소(22.3%)

img030702.gif
-
참고 : 강핑거 파손으로 인한 교체비용 : 최근 5년간 2.3


3. 개선내용



(1)
신설(설계건설)시 신축이음장치 적용형식 변경검토


(1.1) 고무형식


(1.1.1) “모노셀 타입차륜접지면이 강재인 모노셀 타입비교
img030703.gif
(1) : 고속도로 신설공사 설계단가(자재비 + 설치비)

img030801.gif



(2) : 출처- 2003년 고속도로 교량형식별 생애주기비용(LCC) 분석연구


(3) : 출처- 별첨 최근 5년간 교체현황 조사결과(조사기간 : 2009.3.11~3.31)


 


(1.1.2) 따라서, 고무형식은 내구성 및 유지관리 용이성을 고려하여 차륜접지면이 강재인 모노셀 타입으로 적용함이 유리


(1.2) 강재형식


(1.2.1) 레일식 신축이음장치의 교체원인이 주로 지지부속장치 파손에 의한 것이므로 가급적 부속장치가 없거나 단순한 강핑거형식 적용 필요


* 레일식 신축이음장치 단면도
img030802.gif






내구성면에서 레일식은 No 160미만인 경우에 중간레일 및 하부 지지장치가 없어 유리하나, No 160이상에서는 주변장치가 단순한 핑거식이 유리함


또한, No 160이상 형식에서는 핑거식의 설치비용이 저렴(설계처 설계단가)
 


img030901.gif


 


(2) 유지관리현장의 신축이음장치 내구성 향상방안 검토


(2.1) (제안)레일식 신축이음장치 내구성 향상방안의 확대 적용성


(2.1.1) 제안내용 요약(2008. 3/4분기 제안 1등급) : 세부내용
img030902.gif

(2.1.2)
레일식(WSF) 신축이음장치의 하부베어링 사전교체는 교통제한 없이 가능하며 내구수명 연장 및 유지관리 효과가 탁월할 것으로 판단됨


4. 결론



4.1
검토결과


(1) 유지관리에 유리한 형식으로 적용기준 변경


(1.1) 고무형식
img031001.gif
차륜접지면이강재인모노셀타입() : 뉴모노셀, MC Steel, 스틸모노셀, 윙플렉스, GSMJoint


* 상기 타입()는 제작회사별 제품명이며 특정형식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 



(1.2)
강재형식


(1.2.1) 신축량 100mm이하 규격은 중간레일 및 지지빔이 없는 형태인 레일식(스트립씰)을 적용하거나 강핑거 적용 가능


(1.2.2) 신축량 100mm초과 규격은 중간레일 및 지지빔이 있는 레일식을 가급적 지양하고 지지구조가 단순한 핑거식으로 적용


(1.2.3) 핑거식 적용시 배수방식을 원칙으로 하고 신축량 160mm 이하는 방수가 가능한 비배수방식 적용 가능설계처-1859(‘08.7.11) 교량신축이음장치 누수방지시설 검토


(1.3) , 핑거형 설치시 다음의 경우에는 별도 검토하여 적용 여부 판단


(1.3.1) 곡선교 및 사교 : 설계설 10207-138(2004.5.12)에 의거 받침방향 및 사각의 크기에 따라 적용여부 별도 검토


(1.3.2) 연약지반교량은 사용 지양


(1.3.3) 종단경사가 심한 교량은 가동단에서 수평이동으로 인한 핑거간 단차발생을 고려하여 적용가능여부 시공전 검토


(2) 신축이음장치 변경 적용기준(


img031002.gi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