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안전시설목 재질 적정성 검토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1) 현 안전시설물의 재질에 대한 구조 안전성, 시공성, 미관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적정 설계기준을 수립코자 함 (2) 감사 처분 사항(감사실-1021, 2009.5.6) (2.1) 안전시설목에 대한 재질 및 구조변경 방안을 강구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부대공 | |||
건설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도로운송시설>자동차 도로;공종분류>토목공종>도로 및 포장공사>교통안전시설 | |||
2. 현황 및 문제점
(1) 현 설계기준 (1.1)『암파쇄 방호시설 설치지침(2004.11)』(국토해양부) (1.2)『절토부 암파쇄 방호시설개선 검토(1999.8.16)』(한국도로공사) (2.1) 국토해양부 지침에는 풍하중을 고려토록 규정하고 있으나, 현 설계에 적용하고 있는 안전시설목은 풍하중을 미고려 (2.2) 안전시설목재질이 목재형으로 제작설치시 자중(240kg/개소)이 무거워 시공성이 저하되고, 낙석 등으로 파손율이 높음 (2.3) 안전시설목간 정밀시공이 되지 않을 경우 선형불량 등 미관 저해 2.2 검토 내용 (1) 안전시설목 재질별(목재, 강판) 안전성, 경제성, 시공성, 미관 검토 (2) (안전성) 재질별 풍하중에 대한 저항, 전도 및 활동을 검토 (2.1) 풍하중에 대한 저항 검토결과 강판형은 만족하였으나, 목재형은 미달 (2.2) 배면 채움에 대한 전도 및 활동 검토결과 두 재질 모두 만족 (3.1) 목재형은 인력으로 제작하며, 재사용이 곤란하여 공사비가 고가 (3.2) 강판형은 재질특성상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에서 유리 (4.1) 목재형은 자중이 커서 인력 이동ㆍ설치가 곤란하고 외부충격 등에 의한 파손율이 높으나, 강판형은 설치가 용이하고 재사용율이 높음 |
|||
3. 개선내용
(1.1) 다만, 현장특성을 감안 불가피하게 목재형 적용 시에는 풍하중 저항 등 구조적 안전성을 감안하여야 하며, 적용사유가 명확하여야함. (2) (구조해석) 전도 및 활동, 풍하중에 대한 저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안정해석을 시행 (2.1) 풍하중은『암파쇄 방호시설 설치지침(2004.11)』(국토해양부)에서 규정하고 있는 풍하중 계수를 적용 |
|||
4. 결론
(2) 공사단계 : 공사주관부서에서 현장여건을 감안 적용 |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