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점검이 어려운 Box형 교량 점검여건 개선방안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1) 내ㆍ외부 점검이 필요하며 일반교량에 비해 점검이 어려운 BOX형 교량에 대한 점검여건 개선 추진 (2) 효율적 점검수행을 위한 BOX형 교량의 설계 개선방안 모색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교량·구조물공 | ||||
건설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교량시설>도로교;공종분류>토목공종>교량공사>교량부속시설공 | ||||
2. 현황 및 문제점
2.1 교량 관리현황 (1) 연장별 (2) 장대교량(L=100m 이상) 연도별 증가 추이 2.2 BOX 교량 점검상 문제점 (1) 구조물 손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고 있으며, BOX형 구조물의 경우 정확한 상태 파악을 위해 BOX 내ㆍ외부의 체계적 점검 관리 필요 (2) 내외부 점검이 필요하여, 일반교량에 비해 점검시간 과다소요 (2.1) 상부형식별 평균점검 소요일수[정기점검 수준] (2.1.1) 강BOX 교량의 경우 타형식 교량보다 점검시간 과다소요 (2.1.2) 내부점검 필요 및 슬라브를 지지하는 거더열수가 타형식보다 많음
(3) 교량형식별 점검여건 (3.1) 강BOX형 교량 (3.2) 콘크리트 BOX형(FCM) 교량 |
||||
3. 개선내용
(1) 개선 방향 3.1 점검여건 개선 (1) 교량하부 점검구 진출입 시설 설치 (1.1) 위치 : 교대부측 점검구 하부(측면 점검구가 없는 구간) (1.2) 대상 : 교대 앞성토부~점검구까지 1.0m이상 이격된 구간 (1.3) 설치시설 (1.3.1) 점검용 사다리, 콘크리트 블럭 등(도난우려가 적은 재질 사용) (2) 하부 점검구 재질 개선 (2.1) 대상 : 내부점검시 활용도가 높은 점검구 (2.2) 내용 : 점검시 개폐가 용이하도록 경량재질로 교체 (3) BOX 내부위치 식별표지 제작ㆍ설치 (4) 시건장치 개선 → 효율적 점검동선 확보 (5) 점검시행 확인 체계 강화 (5.1) 문제점 (5.1.1) 구조물 점검이 정확이 이루어 졌는지 확인 곤란 (5.1.2) 점검과 시스템 등록 시기가 상이한 경우가 많아 정확한 구조물 손상 이력 파악이 어려움 (5.2) 개선방안 : 점검용 모바일기기 활용 점검기록 자동 등록(→Hi-유지관리시스템) 3.2 유지관리를 고려한 교량설계 개선 (1) 장대교 설계시 강BOX형 교량 설계 지양 (1.1) I형 거더 등 내부점검이 불필요한 형식으로 설계 개선 (2) 강BOX 교량 내부 점검구 규격 확대 : 점검자 통행 고려 (2.1) 점검구 설치 :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측면에 설치 (2.1.1) 불가피하게 하부점검구 설치시 경량재질로 설계 (2.2) 점검구 폭원 확대 : 최소폭 400mm → 600mm 이상 확보 (2.2.1) 한국인 인체 치수조사 참조 : 가슴너비 최대값(391mm) (3) 강박스 내부 식별 표지 및 내ㆍ외부 동시 개폐용 시건장치 반영 (4) FCM 교량 내부 고소부 점검을 위한 점검시설 확충 (4.1) 대상 : 박스내부 형고가 4m 이상인 구간 |
||||
4. 결론
(1) 공용구간 점검시설 개선
(2) 모바일기기 성능 개선 추진 (정보처 합동) : 2012. 12월 (3) 교량 설계 개선 : 설계중 노선부터 반영 |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