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설계·건설시 교량 점검시설 누락방지 방안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1) 교량 유지관리의 기본활동인 안전점검의 원활한 수행여건 조성 (2) 공용전 교량점검시설 확보를 통해 유지보수비용 투입 최소화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교량·구조물공 | |||
건설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교량시설>도로교;공종분류>토목공종>교량공사>교량부속시설공 | |||
2. 현황 및 문제점 (1) 구조물 점검인원 부족 (1.1) 소요인원의 66%(법적 소요인원 246명, 현원 162명) (1.2) 연간 시행하는 점검대상이 1인당 112개소 (1.2.1) 2012년 점검횟수 : 13,291회(정기 12,009회, 정밀 1,234회) (1.3) 부족한 인원을 고려할 때 효율적인 점검여건 제공 필요 (2) 건설시 점검시설 지속 누락 (2.1) 최근 4년간 준공노선의 115개교량(347개소) 점검시설 누락 (2.1.1) 5.1절 참조 : 최근 4년간 준공노선 점검시설누락 현황 (2.2) 교대ㆍ교각부 점검시설 누락 사례 ![]() (3) 점검시설 확충을 위한 유지관리비용의 지속적인 투입 (3.1) 최근 4년간 건설시 누락된 점검시설 확충에 85억원 투입 ![]() (3.2) 구조물 보수·보강에 직접 활용하여야 할 유지보수비용 낭비 (3.3) 점검시설이 필요한 1,337개소를 모두 확충하는데 468억원 필요 (3.4) 건설시 점검시설의 누락으로 불안전한 상태에서 점검업무 수행 <교량점검을 위한 교대·교각 접근방법 현황> ![]() (4) 설계시 교량점검 여건에 대한 세부적인 검토 부족 (4.1) 설계시 점검시설 반영근거 불명확 (4.1.1) 공구별 교량 전체에 대한 검토내용이 1쪽 분량으로 구성 (4.2) 상부 구조부에 대한 점검방법 검토 누락 (4.3) 교대ㆍ교각별 세부 점검여건에 대한 검토자료 누락 (4.3.1) 형하공간, 종단경사, 터널출구부와의 이격거리 등 (4.4) 점검시설 미반영시 대체 점검방법에 대한 검토 부족 (4.4.1) 굴절식 교량점검차 제원 초과, 안전사고 우려 사항 등 (4.4.2) 고소작업차 진입로 유무, 진입로 폭, 지반상태 등
|
|||
3. 개선내용 (1) 설계 적정성 사전협의시 세부 검토사항 제시 (1.1) 관련 기준에 따라 적정 설계반영 여부 확인 (1.1.1) 교대·교각별 형하공간 등 점검여건 조사자료 수록 여부 (1.1.2) 점검시설 미반영시 대체 점검방법에 대한 검토의 적정성 (1.1.3) 점검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반영되었는지 여부 ※ 5.2절 참조 : 설계적정성 사전협의시 중점 검토사항 (2) 건설중 점검시설 적정 반영여부 검토 확인 강화 (2.1) (현행) 준공전 사전점검시 확인 (2.2) (개선) 준공전 사전점검 및 공사중 사전점검시 확인 (2.2.1) 1단계 (준공전 사전점검, 최종준공 6개월 전) ![]() (2.2.2) 2단계 (공사중 사전점검, 최종준공 2년 전) ![]() (2.3) 교량점검시설 관련 설치기준 통합본 작성 배포 (2.3.1) 점검시 담당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통합본 작성, 배포 (2.3.2) 대상 : "고정식 교량점검시설 설치대상 기준개선" 등 7건(구조물처-1774, 2008.8.13) ※ 5.3절 참조 : 공사중인 노선 현황 ※ 5.4절 참조 : 교량점검시설 설치기준(통합본)
|
|||
4. 결론 4.1 향후 추진계획 (1) 2012년 공사중인 노선의 점검시설 적정 반영여부 확인 (1.1) 공사중 및 준공전 사전점검 점검결과 보고(지역본부→구조물처) (1.1.1) 점검결과 누락개소 및 추가반영 요청 현황 (1.2) 2014년까지 준공예정인 노선 점검시기 ![]() |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