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유지관리를 고려한 방음판 설치기준 검토
한국도로공사
1. 일반현황

(1) 최근 고소방음벽에 의한 응달발생, 시인성 저하에 따른 투명형 적용 요구 민원 유발, 염수재에 의한 금속방음판 부식 등 재질선정 과정상 문제점이 있어 대책을 마련하고자 함.
(2) 내부 감사 지적 (2012. 8.2)
(2.1) 고소 방음벽으로 인한 응달지역 발생, 금속재질의 염화물 피해 영향 등을 고려하여 방음자재 설치 기준을 마련할 것.
(3) 고속방음벽 설치시 도로 유지관리 및 운영 불리
(3.1) 시인성 저하로 투명형 교체 요구 민원 : 수원IC, 천안IC, 안산~일직 구간 등
(4) 염수재로 인한 금속방음판 부식
(4.1) 비산염수의 방음판 유입·체류에 의한 하단부 부식이 주요 원인
공사 > 한국도로공사
부대공
건설일반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도로운송시설>자동차 도로;공종분류>토목공종>도로 및 포장공사>도로공사 부대공
2. 현황 및 문제점

(1) 재질 선정 흐름도
img046201.gif
(2) 재질 선정 기준 (고속도로 공공디자인 매뉴얼, 2011)
(2.1) 고소방음벽구간 적용 기준
(2.1.1) 7m 이상 : 높은 이미지를 경감을 위해 중,상단부에 투명형 적용
(2.1.2) 주거지 인접 : 개방감 확보를 위해 상,하단부에 투명형 적용
(2.2) 도로결빙 방지
(2.2.1) 교량 구간은 하단부에 투명형 적용
(2.2.2) 동절기 결빙우려 구간은 하단부에 투명형 적용
img046202.gif
(3) 문제점
(3.1) 투명형의 혼합 적용을 통해 고소방음벽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3.2) 투명형 적용율에 대한 기준이 부재한 상황으로, 과다한 투명형 적용시 반사소음 피해 발생이 우려됨.
(3.3) 금속방음판의 염수피해에 대한 대책이 부재
(3.3.1) 알루미늄의 산화피막이 염소에 의해 용해되어 부식에 취약
※ 출처 : 알루미늄 방열기의 부식 원인 검토 (대한설비공학회)

3. 개선내용


3.1 반사소음 대책
(1) 반사소음 발생 메커니즘
img046301.gif
(1.1) 양쪽 반사형식을 적용하더라도 반사소음을 무시할 수 있는 경우
img046302.gif
(2) 양단 조합형 방음벽 적용시 반사소음 영향
img046303.gif
(2.1) 양단 방음벽 반사형 50% 적용시 반사소음은 1.5dB 미만으로 무시 가능
(2.2) 반사소음 계산이 불가한 상황으로 보완중인 KHTN에 반사소음 계산 기능 반영 추진
(3) 반사소음 고려 필요시 투명형 제한 기준
(3.1) 양단방음벽 투명형 적용시 양방향 방음판 면적의 평균 50%이내에서 탄력적으로 적용
(3.2) 신갈~호법, 안산~일직구간 적용 사례 : 20%~57%

3.2 염수 피해 대책
3.2.1 금속재 부식 발생 원인 추정
(1) 주행차량에 의하여 염수제 비산 → 염수제 방음판 체류 → 부식 발생
img046401.gif
(2) 방음판 형식 : 염수재의 방음판 내부 침투가 가능한 흡음형에서 발생
(3) 부식 구간 : 교량구간의 높이 3m 까지에 부식이 집중 발생
(4) 부식 형태 : 염수가 체류되는 방음판 하단측에서 부식 발생

3.2.2 개선 방안
3.2.2.1 디자인 적용
(1) 높이 3m까지 가급적 금속, 플라스틱 계열 사용 지양

img046402.gif
                 <동계결빙 예방>                 <플라스틱은 비산석 등 충격에 취약>

3.2.2.2 흡음형 방음판 염수 배수홀 제작
(1) 금속 흡음형 방음판은 배수홀 제작을 통해 염수피해 최소화
img046501.gif
(2) 시방기준 반영
(2.1) 금속 흡음형 방음판은 측면판 및 전면판에 배수홀을 제작하여 염수가 체류되지 않토록 하여야 한다. (염수 침투가 없는 반사형은 제외)
(2.2) 부식 방지 도장은 염화칼슘과 소금 혼합용액에 대한 저항성 분석 후 적용 판단

3.2.2.3 방음판 세척
(1) 금속방음판 하단 3m 구간은 매년 해빙기에 살수로 염수 세척
(1.1) 흡음재가 유리섬유인 경우 물 흡수시 형상 유지가 곤란하므로, 폴리에스테르 제품을 사용
img046502.gif
(2) 개선방안 요약
(2.1) 양단방음벽 설치시 투명형 조합
(2.1.1) 양쪽 평균 50%내에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적용
(2.2) 염수 피해 방지
(2.2.1) 교량구간 : 매뉴얼에 H=3m*까지 투명형 적용 (*기초 제외)
(2.2.2) 토공구간 : H=3m까지 금속, 플라스틱 계열 가급적 사용 지양, 금속 흡음형은 배수를 위한 전·측면부 배수 홈 시공, 금속재질은 매년 해빙기 물 세척 시행

4. 결론


4.1 기대효과
(1) 적용방안
(1.1) 설계중 구간 : 본 방침 시행 이후 적용
(1.2) 공사중 구간 : 공사시행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2) 기대효과
(2.1) 방음벽 부식방지로 쾌적한 도로변 환경 조성
(2.2) 동계결빙 예방, 투명형 설치요구 민원에 합리적 대응

4.2 향후계획
(1) 2013. 3~12 : 염수재 유입 차단 흡음 방음판 디자인 개발
(2) 2013. 3~ 9 : 부식방지 도장 적용 여부 검토
(2.1) 도장 시행 효과 및 경제성 비교 검토후 판단
(2.1.1) 염화칼슘과 소금의 혼합용액을 사용한 분무시험 시행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