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고속도로 건축물 누수 최소화 방안 수립
한국도로공사
1. 일반현황

(1) 건축물에서의 누수 발생은 고객 서비스 만족도 및 부실시공 의혹 등으로 공사 이미지 하락
(2) 건축물노후화, 품질 및 유지관리 미흡 등으로 누수발생 건수 지속 증가
(2.1) 최소 비용으로 누수발생 억제를 위한 설계·시공·유지관리 등 근본적 대책 수립 필요
공사 > 한국도로공사
기타
건설일반
시설물분류>보건.휴식.종교시설>휴식, 위락시설>휴식 및 여행자 시설;공종분류>공통공종>총칙>본사관리
2. 현황 및 문제점

(1) 건축물별 누수 현황
img067801.gif
(2) 누수유형 (2013년 조사현황)
img067802.gif
(3) 문제점
(3.1) 노후 건축물의 급속한 증가
(3.2) 방수공사 하자 최소화를 위한 품질·시공관리 노력 미흡
(3.3) 유지보수 실무자 유지관리 역량 부족

3. 개선내용


3.1 누수 원인 분석
누수는 건물 노후화에 의한 방수층 파괴, 구조체에 결함, 실링재·방수재료의 열화, 개구부주변 틈새와 균열, 차양과 벽면의 접합부 마무리 불량 등에 의하며,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미흡 등 복합적인 원인

3.1.1 건축물 노후화
(1) 방수층 및 실링재 등의 내구연한(10년내외) 경과
(2) 콘크리트 중성화 및 균열 등에 의한 방수층 파괴
(2.1) 고속도로 건축물 연령 (영업소·지사·휴게소·주유소)
img067901.gif
(2.2) 방수공사 하자기간은 3년이나 10년이 경과한 건축물의 누수 현저히 증가

3.1.2 발생위치별 누수 원인
(1) 위치별 누수 현황(2013년)
img068001.gif
(2) (옥상) 전체 누수의 약 59%를 차지하나, 내부 마감재 및 물의 이동으로 외관상 누수 발생지점과 결함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원인파악 곤란.
img068002.gif
(3) (외벽) 전체 누수의 약 24%로 외관상 누수지점은 벽면내부에 위치하나 옥상 파라펫, 옥상 바닥면 또는 배수홈통 주변의 결함에 기인하는 경우가 다수
img068101.gif
(4) (지하층) 지하수위 변동에 따른 수압상승으로 취약부를 통한 우수 유입, 기계실 배관 누수 및 결로 등 발생
(5) (캐노피) 캐노피의 방수층 노후화, 금속거터 용접부 및 접합부 불량 등의 원인으로 누수 발생
img068201.gif

3.2 누수예방 종합대책
3.2.1 누수 예방형 설계 및 공법
3.2.1.1 지붕층 및 외벽
(1) 슬라브 방수층 시공법 개선 (내구수명 연장)
img068301.gif
(1.1) 방수보완의 경우 누수원인, 콘크리트 상태 등에 따라 별도공법 적용 가능
(2) 배수성능 향상
(2.1) 경사지붕 도입 및 평슬라브 구배 확대 (1/100→1/30)
img068302.gif
(3) 방수 취약부분 상세도면 보강
(3.1) 옥상 드레인·파라펫·설비배관 및 전기통신선로 관통부 주위
img068401.gif

3.2.1.2 지하층
(1) 지하층 벽체 설계기준 강화
(1.1) 지하층 외벽 2중벽 설치로 결로방지
img068501.gif

3.2.1.3 방수설계 적정성 확인
(1) 설계용역 준공전 방수설계 적정성 검토 (Check-List - - - 5.1절 참조)

3.2.2 방수공사 내구수명 향상
(1) 품질관리
img068502.gif
(2) 책임시공 유도
(2.1) 시공계획서 검토 및 확인 강화
(2.1.1) 시공자 : 취약부분 시공상세도 포함 작성 (전문업자 및 현장대리인 확인·서명)
(2.1.2) 감독원 : 검토·승인 후 적정 시공여부 확인
(2.1.3) 취약부분 : 드레인, 파라펫, 전기·설비배관 관통부 주위 등
(2.2) 방수공사 품질관리 적정성 점검
img068601.gif
(2.3) 방수공사 검측 강화
img068602.gif
(2.4) 감독원 역량강화 (방수 전문가 교육)
(2.4.1) 건축직 직무교육에 반영, 방수공법 및 시공상 유의사항 등
(2.4.2) 시공실패 및 개선사항 발표 및 토의

3.2.3 기존 건축물 대책
(1) 적정 방수보완 예산확보
(1.1) 방수보완 중기(2014∼2016) 사업계획 수립
(1.1.1) 수립방법 : 누수 현황 및 건축물·방수층 노후도 등을 감안 수립
(1.1.2) 예산범위 : 연평균 10억원 내외
(2) 본부 조직업적 평가 반영
(2.1) 평가지표 : 시설관리의 효율성 (비계량 부문)
(2.2) 평가내용 : 누수최소화를 위한 계획수립 합리성, 시설물 개선노력 및 유지관리 효율성
(2.3) 평가방법 : 본부 조직업적평가 보고서 포함작성 및 평가
(2.4) 적용시기 : 2014년 지역본부 평가부터

4. 결론


4.1 누수 해결 지원 시스템 구축 (본부→지사, 휴게시설 운영자)

(1) 지원반 : 본부 건축차장 (누수전반), 설비차장 (결로, 배관 결함), 외부전문가 1인 (방수부분 전문가 별도 위촉시)
(2) 지원내용 : 누수 원인분석 및 보수방안 결정
(3) 지원절차
img068701.gif
(4) 운영방법 : 본부별 자체계획 수립 운영

4.2 유지관리 역량강화
(1) 유지관리 실무자 교육 (지사 설비담당)
(1.1) 교육일정 : 매년 1회 (설비직 직무교육시 교육내용 포함)
(1.2) 교육내용 : 누수발생 원인진단 및 조치 방법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