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설계 교통차종 분류기준 검토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장래 교통수요 예측, 터널환기량 산정 등 설계목적별 교통차종에 대한 적정 분류방법을 검토하여 설계의 일관성 도모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기타 | |||
교통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도로운송시설>자동차 도로;공종분류>공통공종>총칙>본사관리 | |||
2. 현황 및 문제점 2.1 설계 교통차종 분류기준 (1) 교통량 현황조사(도로교통량통계연보, 국토해양부) ![]() (2) 도로시설용량 설계(도로용량편람, 국토해양부) ![]() (3) 포장 설계(도로설계요령, 도로공사) ![]() (4) 터널환기시설 설계(고속도로 터널 환기시설 설계기준, 도로공사) ![]() (4.1) 국토해양부 도로설계편람 터널편 개정(2010.1) : 경유승용차 추가(7종→8종) (5) 상세설계 목적별 차종 분류기준 및 차종 정의 상이 2.2 현황 및 문제점 (1) 장래 교통수요 예측시 차종 분류기준 불명확 (1.1) 노선별 상이한 차종 분류기준(5~7개 차종) 적용 <노선별 장래 교통수요 예측시 차종분류 적용 현황> ![]() (2) 설계 목적별(포장설계, 터널환기 등) 차종 재분류 기준정립 필요 (2.1) 각 차종 분류기준별 구성 차종수 및 차종정의(중량, 축구성 등) 상이 (2.2) 장래 교통수요 예측 후 상세설계(도로용량, 포장, 터널환기)를 위한 개별 차종 분류기준에 따른 차종 재분류시 적용기준 불명확
|
|||
3. 개선내용 (1) 장래 교통수요 예측시 차종 분류 기준 (1.1) 교통수요 예측의 일관성 및 설계목적별 차종분류 기준과의 연계성 확보를 위해 7개 차종으로 구분 (1.1.1) 도로교통량통계연보 및 현장조사·통계자료 등의 차종구성비 활용 ![]() (2) 설계목적별 교통차종 재분류 기준 (2.1) 장래 교통수요 예측 기준 및 개별 분류기준 상의 차종정의 등을 고려하여 교통차종 재분류 기준 제시 (2.2) 터널환기설계의 경우는 관련기준에 따라 휘발유/경유 승용차로 구분 (2.3) 차종구분이 어려운 경우는 관련 통계자료, 현장조사자료 활용 (2.3.1) 참고 : 국토해양부 홈페이지/정보마당/통계자료/자동차등록현황 <설계 교통차종 재분류 기준>
|
|||
4. 결론 |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