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공용중인 콘크리트 포장의 노면요철포장 개선
한국도로공사
1. 일반현황

(1) 노선별, 위치별로 혼란이 있는 공용중인 콘크리트 포장의 노면 요철포장(Rumble Strips) 시공위치 및 규격 개선
(1.1) 아스콘 포장 구간은 기존 지침 적용
공사 > 한국도로공사
포장공
건설일반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도로운송시설>자동차 도로;공종분류>토목공종>도로 및 포장공사

2. 현황 및 문제점


2.1 추진경위
img033801.gif

2.2 설치현황(효과) 및 문제점
2.2.1 설치현황
img033901.gif

2.2.2 포장유형별 설치현황
img033902.gif

2.2.3 설치효과
(1) 국내
(1.1) 한국교통연구원 : 도로이탈사고 38% 감소효과
(1.2) 도로교통연구원(2007년)
(1.2.1) 공용노선 설치구간(15개노선 282km)사고분석 결과 32.3% 감소효과
(1.2.2) 졸음으로 인한 사고 가장 크게 감소
(2) 국외 (미국)
(2.1) 도로이탈사고 20~50% 감소효과
(2.1.1) 메사추세츠 45%, 워싱턴 18%, 뉴저지 34%, 펜실베니어 70%, 켄사스 34%, 기타 주 평균 20%

2.2.4 문제점
(1) 지침 변경(2008.8)이후에도 노선별로 상이하게 설치
(2) 갓길 아스콘 포장 노후화 및 동결융해 등으로 균열 및 파손 급속진행
img034001.gif

2.3 설치기준
(1) 공용중인 콘크리트 포장 노면요철포장 설치위치 개선(설계처-2204, 2008. 8.20)
(1.1) 길어깨 차선에서 600mm→100mm

2.3.1 적용구간
(1) 설치구간
(1.1) 터널 입구부 전방 200m 이상 (교량 인접시는 교대까지 설치)
(1.2) 졸음운전, 안개 등으로 차로이탈 사고가 발생(예상)한 구간
(1.3) 평면곡선반경 1,000m이하이고 종단경사가 하향 2.5% 이상인 구간
(1.4) 기타 사고예방을 위해 도로관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구간
(2) 설치제외 구간
(2.1) 잔존수명 3년 이하 구간 (확장예정, LCS 예정 등)
(2.2) 방음벽 설치구간(전후 100m 구간 포함)
(2.3) 출입시설(진입ㆍ진출 연결로 전후 200m 구간)
(2.4) 구조물 구간(교량, 터널)
(2.5) 상당한 빈도의 길어깨 주행이 예상되는 구간
(2.6) 길어깨 포장면 파손이나 균열이 심한 구간
(3) 설치구간 연장
(3.1) 설치효과 극대화를 위해 최소 300m이상, 최대 3km이하를 원칙으로 함(도로교통기술원 효과분석 자료, '07.5)

2.3.2 규격
(1) 공용중인 콘크리트 포장(표준도, 절삭형)
img034101.gif
(2) 설치 단면도(콘크리트 포장, 절삭형)
img034102.gif

3. 개선내용


(1) 공용중인 콘크리트포장 단부는 모서리 탈리 및 길어깨 아스콘의 노후화로 장기적으로 균열, 파손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2) 시공위치를 콘크리트 포장 측대위치에 절삭방식으로 시행
img034103.gif
(2.1) 설치단면도(콘크리트 포장, 절삭형)
img034201.gif
(2.2) 시공사례
(2.2.1) 위치 및 시기 : 경북, 경기 관내 콘크리트 포장(2009~2010)
(2.2.2) 방법 : 콘크리트포장 측대부 절삭(자체장비 또는 도급)
img034202.gif
(2.2.3) 결론 : 콘크리트포장 측대부 절삭에 문제가 없으며, 유지관리, 차로이탈 조기 인지 가능

4. 결론


(1) 적용방안
(1.1) 2011년 : (졸음)교통사고 취약지점, 안개잦은구간 곡선부 외측 우선 시행(지역본부별로 파악 보고, 2011. 2. 15)
(1.2) 2012년 이후 : 중기계획 별도 수립 시행(교통처, 2011년 하반기)
(2) 적용구간(설치구간)은 기존 지침 계속 적용
(3) 균열, 파손된 노면 요철 포장 관찰, 보수 조치(지역본부)
(4) 표준도 변경(설계처)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