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공사원가절감

상세정보보기

상세정보보기
강교거치 공법 변경에 따른 예산 절감(ILM거치 → 크레인 직접거치)
국토해양부
1. 일반현황

(1) 공사명 : 원덕-근덕간 국도확장 및 포장공사(국도7호선)
(2) 공사기간 : 2001.06.20 ~ 2009.12.31
(3) 공사비 : 95,504 백만원
(4) 사업개요
(4.1) 토공사(절토 2,025천㎥, 성토 1,926천㎥), 콘크리트 포장 10.34km.
(4.2) 암거 11개소/ 692m, 횡배수관 81개소/2,610m
(4.3) 교량 8개소/1,017m, 터널 1개소/920m
(5) 발주처 : 원주지방국토관리청
(6) 시공회사 : 동부건설(주)
(7) 설계회사 : 경호엔지니어링 외 1개사
(8) 감리회사 : 한국건설관리공사
기타
교량·구조물공
건설일반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교량시설>도로교;공종분류>토목공종>강구조물공사

2. 현황 및 문제점


(1) 현황
(1.1) 신남1교의 강교가설공법은 교대(A2) 뒷편에 강교의 조립 및 가설을 위한 별도의 임시작업장을 설치하여
(1.2) 기제작된 강교를 조립 연결한 후 압출용 추진장치(Nose)를 이용, 순차적으로 압출을 반복하여 상부공을 완성하는 연속압출공법(ILM)을 적용토록 설계 반영
(2) 문제점
(2.1) 공사비가 고가임
(2.2) 강교의 조립 및 연결, 압출을 위한 별도의 임시 작업장 필요
(2.3) 강교제작(공장)과 임시작업장 설치를 위한 공정관리가 필요
(2.4) 가설방법이 특수공법으로 전문인력 및 기술이 필요
(2.5) 시공시 정밀한 안전관리 및 품질관리가 요구됨

3. 개선내용


(1) 개선내용
(1.1) 신남1교는 하부공 시공을 위한 공사용가도가 기시공 되어 원지반으로 강교 반입 및 거치가 가능한 상태로서 강교의 직접거치를 위해 전문업체(강교거치)와 현지 조사 결과 크레인에 의한 직접거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
(1.2) 강교거치공법을 연속압출공법에서 크레인에 의한 직접거치공법으로 변경계획 수립
(1.3) 강교거치공법 변경 실정보고(감리단에서 발주처)
(1.4) 실정보고 승인, 설계에 반영, 시공완료
(1.5) 공사비 절감 : 298백만원
(2) 추진경위
(2.1) 감리단에서 신남1교 강교거치공법을 재검토
(2.2) 시공사 공무팀과 기존의 강교거치공법과 직접가설공법과의 비교 검토
(2.3) 강교제작 및 설치공사 업체인 (주)동부 기술팀과 강교 직접거치 공법 적용을 위한 현장 점검 및 적용할 크레인의 성능 검토 결과 직접거치가 가능한 것으로 결론
(3) 기대효과
(3.1) 신남1교의 강교거치공법을 연속압출공법에서 크레인에 의한 직접거치공법으로 변경하여 시공한 결과 공사비가 298백만원 감소되어 국가예산 절감
(3.2) 가설제작장 미설치에 따른 공기단축
(3.3) 모든 제작부재를 정위치 상태로 제작하므로 설계조건과 제작조건이 일치하고 I-Girder의 플랜지를 1개의 통판으로 만들기 때문에 피로균열의 발생을 막을 수 있음
(3.4) 3분절로 된 빔 연결시 현장 용접이 아닌 고장력 볼트를 사용하여 시공성 향상 및 품질관리 우수

4. 결론


(1) 설계에 반영된 교량 강교거치 공법을 시공하기 전에 현장여건을 면밀히 분석 검토하여 시공성, 경제성, 안정성이 확보되는 공법으로 변경 적용
(2) 현장여건을 감안하지 않고 설계에 반영된 강교거치공법을 재검토하여 현장여건에 적합한 공법으로 변경시공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안전시공에 기여함
(3) 설계도서 검토시 설계에 반영된 사항에 대해 시공전에 현지여건, 경제성, 안전성, 공기 등을 재검토하여 현장여건에 적합한 공법적용을 위한 검토 필요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