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설실무정보
상세정보보기
길어깨 하부 맹암거 및 종배수관 설계 개선 | |||
한국도로공사 | |||
1. 일반현황 (1) 설계VE 아이디어 제안의 질적·양적 한계에 따라 과거 낮은 등급의 기술제안을 재검토하여 확대 적용성 검토 [관련근거] '기술제안 가치화방안'(2012.2.27.기술심사처) - 새로운 제안만으로는 제안의 질적·양적 성장에 한계 - 우수 제안과제 채택 후 추진미비 및 잊혀진 기술제안의 확산강화 (2) L형측구 하단부 도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수관과 맹암거의 근접 시공에 따라 시공방법 및 장비 작업성을 고려하여 개선필요 |
|||
공사 > 한국도로공사 | |||
배수공 | |||
건설일반 | |||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도로운송시설>자동차 도로;공종분류>토목공종>관공사 부대공>암거구조물 | |||
2. 현황 및 문제점 2.1 추진경위 (1) 2007. 10. 수도권 건설사업단 실시제안(8등급) (1.1) 맹암거 터파기 작업폭 부족으로 과다절취 발생 (1.2) 종배수관과 맹암거를 통합시공하고 맹암거를 60~70cm위치이동 (2) 2011. 08. 삼척속초 건설사업단 실시제안(6등급) (2.1) 맹암거 터파기를 위해 과다절취로 하부가 불안정하여 붕괴 (3) 2012. 02. 기술제안 가치화 방안 수립(기술심사처) (3.1) 제안과제 실무적용 확대를 통한 성과확산 및 창의적 문화정착 (3.2) 실행력 및 성과도출 가능성이 있는 제안과제 선정 (3.2.1) 교량 난간 방호벽 콘크리트 강도 개선 등 10건의 기술검토과제 선정 2.2 현황 및 문제점 2.2.1 설계기준 (1) 도로설계요령 (1.1) 맹암거의 설치위치는 땅깎기부의 길어깨, 편절·편성 및 절·성 경계부, 용수 다발지역에 설치 (1.2) 땅깎기 비탈면에 설치하는 맹암거는 비탈면에 용수가 있을 때 설치하며 부직포를 사용하지 않는 맹암거 설치 (2) 종배수관 터파기 수량산출기준 변경(1994.7.26. 설계처) (2.1) 터파기 높이를 노상마무리면과 종배수관 상단을 일치 (3) 산지부 적용기준 맹암거 규격 확대(2007.11.28. 설계처) (3.1) 규격 확대(단면 : 400×500×600→600×700×800, 유공관 : 200→400) (4) 맹암거표준도(200.4), 종배수관 및 면벽(2.008) 2.2.2 현황 (1) 설계단계(함양~울산) (1.1) 맹암거와 종배수관 간섭으로 종배수관을 위치이동하여 설계 (1.2) 맹암거와 종배수관 별도 수량 산출(터파기 수량 중복) (2) 시공단계(10개 사업단) (2.1) 맹암거 설계단면 형성 및 터파기가 어려워 위치를 길어깨측으로 이동 후 통합 터파기 시공 (2.2) 맹암거 설계단면을 형성하기 위해 L측구 뒤채움부까지 깎기 시공 (2.3) 집수정 설치 부분이 아닌 구간은 종배수관을 이격하여 시공 2.2.3 문제점 (1) 맹암거 설치를 위한 종방향 굴착 터파기시 백호우 바퀴 정위치를 위한 작업공간 협소로 횡방향 굴착에 의한 과다절취 발생 (2) 과다 절취부는 쐐기파괴 발생, 절리 및 풍화구간은 사면 불안정 ![]() (3) 절토부 종배수관과 근접하여 맹암거를 시공함에 따라 터파기 2회 시행으로 작업성이 불량하고 현장마다 시공방법이 상이함. (4) 종배수관과 맹암거 전체를 터파기 시행(폭 과다)하거나 붙여서 시공 ![]() |
|||
3. 개선내용 3.1 개선방안 검토 3.1.1 맹암거 단일 시공구간 (1) 장비 작업성(바퀴 폭)을 고려하여 맹암거 설치위치 조정 (1.1) L-2,3 측구 : 맹암거 위치를 사면절취 단부로부터 60~70cm 조정 (1.2) L-1 측구 : 바깥측(비탈면)으로 작업폭 확보(60~70cm 조정) ![]() 3.1.2 맹암거+종배수관 시공구간 (1) 맹암거를 종배수관측으로 이동하여 터파기 통합 시공 (2) 종배수관 상단을 동상방지층 하단에 일치시켜 배수관 설치 (2.1) 종배수관 설치(터파기) 기준 변경[설일16210-121호(1994.7.26)] (3) 종단경사로 인한 배수불량 구간 등 부득이 한 경우 현행대로 시공 ![]() 3.1.3 수리·구조검토 (1) 맹암거 위치와 설치깊이 변경에 따른 지하수의 거동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됨(지하수 수치해석 결과) (2) 종배수관 상부 토피가 40cm이상일 경우 구조적으로 안정성 확보 3.1.4 효과 및 가치(V)분석 (1) 터파기 통합작업으로 시공 효율성 증대 및 터파기량 감소 ![]() (2) 12개 사업단 적용시 : 15억원 절감 예상 (2.1) 종배수관과 맹암거가 동일단면내 있는 개선대상연장 : 89km (3) 가치(V)분석 : 24% 가치향상 (3.1) 성능(Performance) : 시공성 향상 등 5.4%향상 (3.2) 비용(Cost) : 터파기 중복수량 배제 등 15% 향상
|
|||
4. 결론 (1) (설계중인 노선) 설계중인 노선 및 공사 미발주 노선은 개선안 적용 (2) (시공중인 노선)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공사주관(시행) 부서에서 적용 여부 판단
|
|||
다운로드 |